일가 김용기 탄생 100주년 기념 사업 『일가 김용기와 가나안 이상촌 운동』출간
일가 김용기 탄생 100주년 기념 첫 사업으로 『일가 김용기와 가나안 이상촌 운동』이 출간되었다.
지난 2월 28일 가나안 농군학교에서『일가 김용기와 가나안 이상촌 운동』출판기념회를 가졌다.
이 책은 제1부 ‘일가 김용기 이전의 이상촌 운동’ 제2부 ‘일가 김용기 : 이상촌의 탄생과 시련’ 제3부
‘제3차 이상촌: 가나안 이상촌’ 제4부 자료편 등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1960년대부터 1980년까지의 교무일지, 교육과정 소개, 일가 선생 관련 자료 등을 첨부하여 우리나라
가나안 이상촌 운동의 역사를 한 눈에 알아볼 수 있게 체계화한 역작으로 그 가치가 높다.
(림영철 지음/944쪽/일가재단)
조선일보 보도 내용입니다 - 여기를 클릭하면 기사원문을 볼 수 있습니다.
'젖과 꿀이 흐르는 농촌'을 기다리며…
가나안학교 설립 '김용기 장로 탄생100주년'… 기념서 출간
"음식 한끼에 반드시 4시간씩 일하자." "버는 재주 없거든 쓰는 재주도 없도록 하자."
기독교 정신으로 우리 농촌을 젖과 꿀이 흐르는 복지(福地)로 만들고자 했던 일가(一家) 김용기(金容基·1909 ~1988) 장로의 탄생 100주년을 맞아 일가재단(이사장 김상원)이 그의 생애와 사상, 이상촌 운동의 역사와 자료 등을 정리한 《일가 김용기와 가나안 이상촌운동》(림영철 지음)을 펴냈다.

▲ 가나안농군학교 설립자 일가 김용기(1909~1988) 선생이‘개척의 종’을 치고있다. /일가재단 제공
경기도 양주 와부에서 태어난 김용기는 10대 후반 젊은 혈기에 만주를 되찾겠다면서 만주를 여행했다. 그러나 "너는 농사꾼이 되라"는 부친의 권유로 고향에 정착하면서 이상촌 건설을 꿈꾸며 고향의 황무지를 개간했다. 고향 마을에서 봉안이상촌 운동을 시작했던 김용기는 이후 삼각산농장, 에덴향 이상촌을 거쳐 1954년 11월 현재의 경기도 하남시 풍산동에 '가나안 농장'을 세웠다. 가나안 농장은 하루 16시간씩 일하고 치약은 한번에 3㎜, 세숫물도 대야의 3분의 2 이상 못 쓰게 하는 등 철저한 검약정신과 실천으로 차츰 주변에 이름났다. 당시 경기도 광주군에서 공무원을 가나안농장에 보내 교육받도록 한 것이 가나안농군학교 설립(1962년)으로 이어졌다. 이후 지금까지 정치인·경제인·공무원 등 70만명이 교육받았다. 김용기 장로 타계 이후 김종일(가나안복민회 이사장)·평일(제1가나안농군학교장)·범일(제2가나안농군학교장) 등 김 장로의 아들들이 그 정신을 잇고 있다.
일가재단과 가나안농군학교는 김용기 장로가 탄생한 9월을 전후해 《일가 전집》과 구술자료집, 세계가나안운동(WCM) 세계대회, 일가사상 기념 국제학술대회 등을 개최할 예정이다.
김한수 기자 hansu@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