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가나안정신

복민(福民)주의

배경

복민사상의 역사·문화적인 배경은 일제하 시기인 1930년대 이후 한국농촌의 피폐한 상황이다. 일가 김용기 선생의 황무지 개척과 농민운동, 독립운동, 정신교육 활동에 기초가 되었고 우리 민족 근대사 뿐만 아니라 기독교 사상사적인 면에서도 매우 큰 영향을 끼쳐왔다.

"복민"(福民), 즉 하나님의 복 받은 백성이라는 의미로 사용한 단어와 연관지어 "복민사상" 또는 "복민주의"라고 칭한다. 그 의미는 문자 그대로 "복음에 따라서 사는 복 받은(받고 있는, 받을) 하나님의 백성의 삶"을 말하는 사상이다. 

​복음에 따라서 사는, 복 있는 하나님의 사람의 삶의 모습이다. 역사적 현실을 제대로 파악하고 여기에 맞추어서 복음을 재해석하여 그에 따라서 결단하고 살아가는 것이다.

의미

실천

김용기 선생은 깨달은 바를 실천에 옮기는 데에 있어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사람이었다. 그는 모두가 포기하고 뒤로하는 농촌에 역으로 소망이 있다는 믿음의 눈으로 미래를 바라보고 헌신의 삶을 살았다. 

그리하여 그의 사상은 농촌의 개혁과 새마을 운동의 정신적인 요체로 발전하게 된다. 그에게 노동은 저주의 고통이 아닌 하나님의 구원의 축복과 창조적인 행위였다. 그리고 가장 신성한 것이었다. 

​근면과 검소한 생활도 엄격히 실천이 되었다. 음식에서도 일식삼찬의 규칙이 적용되었고 식단의 내용은 건강을 위한 과학적 영양분석을 토대로 짜여 졌으며 동시에 검소 간결한 것이었다. 밥은 한 알을 남겨서도 안 되었고 반찬은 남겨서도 안 되었다. 옷도 중국인민군 옷 같은 복장 하나로 일할 때나 예배할 때나 통일을 하였으며, 신발은 고무신이나 겨울에는 싼 털실 같은 것을 신었다. 치약은 3밀리미터 이상을 짜서는 안 되었고 비누도 3번만 문지르고 세수를 하도록 하였다. 불도 엄격히 아껴 쓰도록 하여서 낭비하는 일이 없도록 신경을 썼다. 하나님의 재산을 낭비하는 것은 죄악이었기 때문이다. 집은 간소하게 지었으나 봉안 이상촌 시절의 집은 위에서 볼 때에 십자가 모양으로 독특하게 집을 지었는데 이는 그의 실천적 의지를 보여준다. 

효()사상 - 내리사랑 올리효도

가나안의 효는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하는 가나안농군학교의 이념을 실현하고자 하는 실천운동이다.

효사상은 우리 민족의 삶과 사고의 밑바탕이 되어 온 전통 윤리이다. 그러나 산업화의 과정에서 핵가족화가 진행되면서 효의 정신은 점점 잊히고 그 의미를 상실하게 되었다. 물질문명의 눈부신 발전과는 대조적으로 정신문명은 제 자리 걸음도 못한 것이다. 좀 더 잘살아 보겠다고 치달아 보면서도 어떻게 사는 것이 잘 사는 것인지에 대한 이해가 없었고 이해하려고도 하지 않았다. 그 밑바닥에 숨어 있는 본래적인 의미를 찾아내어 시대에 뒤떨어진 부분이 있다면 잘라내고 맞지 않는 부분은 수정해서 오늘날에도 그 아름다운 정신을 되살리자는 것이다.

배경

의미

효는 단지 행동의 덕목이 되는 차원을 넘어 사람됨의 바탕이며 인간관계의 기본이 되는 참 삶의 원리를 말한다.

실천

상실된 인간성을 회복하기 위해 먼저 자기성찰이 있어야 할 것이다. 자신이 걸어온 길을 되돌아 보며 양심을 회복하고 타인에 대한 존경과 관용을 되찾아야 한다.

기독정신에서의 효 - 사랑에 기초해야 한다. 사랑만이 이것을 가능하게 한다. 인간성 회복, 인간관계의 회복은 '내가 내게 있는 모든 것으로 구제하고 또 내 몸을 불사르게 내줄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내게 아무 유익이 없느니라(고린도전서13장 3절)'는 데서부터 시작할 수 있다. 구약성경의 십계명에서 '네 부모를 공경하라'라는 말은 이웃에 대한 계명 중 첫번째 계명이다. 이와 같이 부모에 대한 사랑은 역사적으로도 중요한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일하기 싫으면 먹지도 말라 - 김용기 선생은 '일을 하라고 명령하는 사람이 되지 말고 몸소 실천하는 사람이 되자' 이런 신조의 김용기 선생은 평생을 노동을 하면서 보냈다. '일하기 싫으면 먹지도 말라'라는 말은 노동을 통해 기쁨을 얻고 또한 사랑을 실천하는 것이며 하나님의 가르침을 성실히 따르는 것이다.

효도는 부모님을 기쁘게 하는 것 - 부모님을 기쁘게 하고 뜻을 존중하는 것이 곧 효도이며 김용기 선생이 평소 강조했던 다섯가지의 효도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람이 늙으면 잔소리가 많아진다.

         그러나 경험많은 부모가 자식에게 하는 말 중에 그른 것이 없으니 모두 받아들여라.      

둘째, 노인들은 쉽게 노여움을 타지만 이해하고 받아들여라.

         늙으면 몸과 마음이 약해져서 사람들이 자신을 업신여기는 것처럼 느낀다.

         의지하는 것은 오직 자식뿐인데 자식마저 노여움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그 심정이 어떻

         겠는가.

셋째, 늙으면 갖고 싶은 것도 많다. 가능한 자식은 급여 봉투를 부모에게 맡기고 타서 써라.

         노인들은 소유욕만 강할 뿐 그 돈을 함부로 쓰지 않는다.

넷째, 나이가 들면 먹고 싶은 것도 많아진다. 부모님이 잡숫고 싶어 하는 것은 구해 드려라.

         노인들은 경제적 부담이 되는 것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다섯째, 노인들은 항상 몸이 가렵다. 아들과 며느리가 부모의 등을 손으로 자주 긁어 드려라.

             시어머니의 등을 긁어주는 며느리는 반드시 효부 소리를 듣는다.

내 아이 바로 키우기 운동 - 이 땅의 모든 부모들이 내 아이 바로 키우기 운동을 벌인다면 범죄는 훨씬 줄어들 것이다. 많은 부모들이 내 아이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는데서 많은 문제가 생긴다. 부모는 자식에게 가장 확실한 교과서이다. 부모의 생활을 보면서 자녀들은 그것을 따라 하는 것이다. 노동을 소중히 알고 효도를 잘하는 부모 밑과 그렇지 않은 부모 밑의 자녀 중 어느 쪽이 더 올바른 자녀로 성장할 것이라고 생각 하는가? 실천하고 행하는 효도야 말로 진정한 효인 것이다. 

bottom of page